하라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라 내각은 1918년 9월 29일부터 1921년 11월 13일까지 1142일 동안 재임했다. 하라 다카시가 총리대신과 사법대신을 겸임했으며, 우치다 고사이가 하라 총리 암살 후 총리대신 직무대행을 수행했다. 주요 정책으로 시베리아 출병, 파리 강화 회의 참여, 선거권 확대 등이 있었으며, 다이쇼 천황의 건강 악화에 따른 섭정 문제와 궁중 모 중대 사건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라 다카시 - 다이쇼 데모크라시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러일 전쟁 이후 시민 계급 성장과 국제 정세 변화를 배경으로 일본에서 일어난 민주주의 운동 및 사회 변혁으로, 민본주의, 천황기관설 등의 이론적 토대 위에 호헌 운동, 쌀 소동, 보통선거법 제정 등을 통해 정당 내각제 발전과 의회 정치 확립을 가져왔으나 만주사변을 기점으로 몰락하며 군국주의로 이행, 전후 민주주의 기반 형성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파시즘으로 이어진 측면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공존한다. - 하라 다카시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1918년 일본 - 데라우치 내각
데라우치 내각은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총리, 외무대신,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시베리아 출병 결정, 대중국 외교, 이시이·랜싱 협정 체결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쌀 소동과 총리의 건강 악화로 총사퇴한 일본 제국의 내각이다. - 1918년 일본 - 1918년 쌀 소동
1918년 쌀 소동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서 쌀값 폭등으로 인해 발생한 전국적인 폭동 사건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의 총사퇴와 하라 다카시 내각의 출범, 그리고 산미증식계획과 같은 식민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등 일본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결과를 초래했다. - 1921년 일본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 1921년 일본 - 다카라즈카 가극단 10기생
다카라즈카 가극단 10기생은 1921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데뷔한 15명의 단원들을 지칭하며, 예명이 《백인일수》에서 유래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1922년 데뷔한 아지로기 와타루와 와타세 시모코 또한 함께 다룬다.
하라 내각 | |
---|---|
기본 정보 | |
![]() | |
내각 번호 | 19대 |
존속 기간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소속 정당 | 중의원 블록: |border=darkgray}} 입헌정우회 귀족원 블록: 고우유 클럽 연구회 |
선거 | 1920년 총선거 |
국회 회기 | 제41회 제국의회 제42회 제국의회 제43회 제국의회 제44회 제국의회 |
이전 내각 | 데라우치 내각 |
다음 내각 | 다카하시 내각 |
정부 수반 | |
천황 | 다이쇼 |
수상 | 하라 다카시 |
주요 인물 | |
총리 | 하라 다카시 |
기타 정보 | |
해산일 | 1921년 11월 4일 |
성립일 | 1918년 9월 29일 |
2. 재직 기간
1918년 9월 29일부터 1921년 11월 13일까지 총 1,142일 동안 재직하였다.
하라 내각은 입헌정우회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부 군부 및 무소속 인사가 포함되었다. 내각의 주요 직책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1]
3. 내각 구성
직위 대신 정당 임기 내각총리대신 하라 다카시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외무대신 백작 우치다 고사이 무소속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내무대신 도코나미 다케지로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대장대신 자작 다카하시 고레키요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 (1918년 9월 29일 ~ 1921년 6월 9일)
야마나시 한조 (1921년 6월 9일 ~ 1921년 11월 13일)군 (육군) 해군대신 남작 가토 도모사부로 군 (해군)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사법대신 하라 다카시 (1918년 9월 29일 ~ 1920년 5월 15일)
오키 엔키치 (1920년 5월 15일 ~ 1921년 11월 13일)입헌정우회 문부대신 나카하시 도쿠고로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농상대신 남작 야마모토 다쓰오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통신대신 노다 우타로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13일 철도대신 모토다 하지메 입헌정우회 1920년 5월 15일 ~ 1921년 11월 13일
하라 다카시 총리가 1921년 11월 4일에 암살된 후, 우치다 고사이 외무대신이 1921년 11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총리대신 직무대행을 수행했다.[1]
내각서기관장은 입헌정우회 소속 다카하시 미쓰타케, 내각법제국 장관은 입헌정우회 소속 요코타 센노스케가 맡았다.[1]
3. 1. 국무대신
직위 | 대신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하라 다카시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외무대신 | 백작 우치다 고사이 | 무소속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내무대신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대장대신 | 자작 다카하시 고레키요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육군대신 | 다나카 기이치 | 군 (육군)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6월 9일 |
야마나시 한조 | 군 (육군) | 1921년 6월 9일 | 1921년 11월 4일 | |
해군대신 | 남작 가토 도모사부로 | 군 (해군)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사법대신 | 하라 다카시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0년 5월 15일 |
오키 엔키치 | 입헌정우회 | 1920년 5월 15일 | 1921년 11월 4일 | |
문부대신 | 나카하시 도쿠고로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농상대신 | 남작 야마모토 다쓰오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통신대신 | 노다 우타로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철도대신 | 모토다 하지메 | 입헌정우회 | 1920년 5월 15일 | 1921년 11월 4일 |
내각서기관장 | 다카하시 미쓰타케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내각법제국장관 | 요코타 센노스케 | 입헌정우회 | 1918년 9월 29일 | 1921년 11월 4일 |
하라 다카시가 1921년 11월 4일 암살된 후, 백작 우치다 고사이가 1921년 11월 4일부터 13일까지 내각총리대신 직무대행을 수행했다.[1]
직위 | 대신 | 정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내각총리대신 | 백작 우치다 고사이 (직무대행) | 무소속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외무대신 | 백작 우치다 고사이 | 무소속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내무대신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대장대신 | 자작 다카하시 고레키요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육군대신 | 야마나시 한조 | 군 (육군)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해군대신 | 남작 가토 도모사부로 | 군 (해군)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사법대신 | 오키 엔키치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문부대신 | 나카하시 도쿠고로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농상대신 | 남작 야마모토 다쓰오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통신대신 | 노다 우타로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철도대신 | 모토다 하지메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내각서기관장 | 다카하시 미쓰타케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내각법제국장관 | 요코타 센노스케 | 입헌정우회 | 1921년 11월 4일 | 1921년 11월 13일 |
3. 2. 우치다 고사이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하라 다카시가 1921년 11월 4일 암살된 후, 백작 우치다 고사이가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를 맡았다.[1] 그는 외무대신을 겸임하였다. 우치다 고사이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의 재직일수는 10일이다.[9]직명 | 성명 | 출신 등 | 특명 사항 |
---|---|---|---|
내각총리대신 | 우치다 고사이 | 외무성 백작 | 임시 겸임 (외무대신 겸임) |
외무대신 | 우치다 고사이 | 외무성 백작 | 내각총리대신 임시 겸임 |
내무대신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중의원 입헌정우회 | 철도원 총재 |
대장대신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귀족원 입헌정우회 (교우구락부) 자작 | |
육군대신 | 야마나시 한조 | 육군대장 (육대 8기) | |
해군대신 | 가토 도모사부로 | 해군대장 (해병 7기) 남작 | |
사법대신 | 오키 엔키치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백작 | |
문부대신 | 나카하시 도쿠고로 | 중의원 입헌정우회 | |
농상무대신 | 야마모토 다쓰오 | 귀족원 입헌정우회 (교우구락부) 남작 | |
체신대신 | 노다 우타로 | 중의원 입헌정우회 | |
철도대신 | 모토다 하지메 | 중의원 입헌정우회 |
3. 3. 내각서기관장·법제국 장관
입헌정우회입헌정우회